티스토리 뷰

반응형

The Crossing, 1996, 비디오, 출처=http://www.scadmoa.org

비디오 아트의 선구자

Bill Viola는 비디오 아트에 획기적인 공헌으로  현대 미술계의 상징적인 인물이라 할 수 있습니다. 수십 년에 걸친 노하우와 선견지명은 기술과 예술의 경계를 넓히고 감정의 몰입감과 기발한 아이디어로 전 세계 관객을 사로잡았습니다. 그는 비디오를 매체로 실존적이고 영적인 주제를 탐구함으로써 우리가 예술을 인식하고 참여하는 방식을 재구성하였습니다. 또한 비올라의 작품은 시간, 공간, 인식에 대한 우리의 전통적인 개념에 도전하여 보편적인 인간 경험에 대해 성찰하게 하여 현대 미술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는 비디오 아트의 선구적인 역할을 하여 수많은 아티스트, 영화 제작자 및 기술자들에게 영감을 주어 그 경계를 넓히게 하였습니다.


어린 시절과 영향

Bill Viola는 1951년 1월 25일 뉴욕 퀸즈에서 태어났습니다. 가톨릭 가정에서 자라면서 종교 의식과 도상학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는데 이러한 점은 그의 후기 작품에서 영성을 탐구하는 토대를 마련했습니다. Viola의 예술에 대한 관심은 1973년 시라큐스 대학(Syracuse University)에서 공부하는 동안 꽃을 피웠으며 그곳에서 회화와 뉴미디어, 인지심리학 그리고 전자 음악을 공부하였습니다. 1973년 Experimental Studios에서 미술 학사 학위를 받으며 비디오 작업, 영상 설치, 음향, 전자 음악 퍼포먼스와 텔레비전을 위한 영상 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졸업 후 에버슨 미술관에서 비디오 아트 기술자로 일하던 중 백남준을 만나 그의 조수로 일하며 비디오 아트에 대한 개념을 발전시켰습니다. 그는 현대 사회와 높은 관련성을 가진 동시대 미술에 대한 시각을 넓히고자 작품 속에 선불교, 이슬람 수피교, 기독교 신비주의 등 많은 학문과 철학을 통합시켰고,  이로 말미암아 1995년 미국을 대표하여 제46회 베니스 비엔날레에 참가하게 되면서 이름을 알렸습니다. 이후 1987년 뉴욕 현대미술관, 2017년 빌바오 구겐하임 미술관, 2019년 런던 로열 아카데미 등에서 주요 개인전을 열었습니다.


대표 작품

<인사>The Greeting (1995)

<인사>는 1995년 제45회 베니스 비엔날레 미국관 출품작으로 시간성과 작품의 회화성을 포착하여 크게 호평을 받았습니다. 이 작품은 이탈리아 후기 르네상스 화가 야코포 다 폰드르모Jacopo da Pontormo의 <방문>이라는 작품에서 영감을 얻어 세 여성의 만남과 대화의 과정을 극적인 구도와 선명한 색감으로 표현한 작품입니다. 한 대의 카메라로 45초 동안 촬영한 영상을 10분 22초의 길이로 늘려 재생하는데 관객은 이 작품이 회화인지 비디오인지 구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초저속 동영상을 관람하게 됩니다. 작품을 계속 보고 있으면 미세하게 등장인물의 표정이 변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데 작품 속 인물들의 만남을 통해 드러나는 반가움과 어색함의 교차를 집중적으로 부각합니다. 비올라는 "순간을 포착하는 것은 동시에 그 순간을 길게 늘이는 것을 의미한다. 감정 또한 마찬가지로 증폭된다"라고 말합니다. 비올라는 이 작품을 통해 과거와 현재, 전통과 현대의 경계를 허무는 신성한 것과 일상의 교차점을 탐구하고자 하였습니다.

<투영하는 연못>The Reflecting Pool (1977-1979)

비올라는 초기작부터 시간을 소재로 하여 다양한 실험적 영상 작업에 몰두했습니다. <투영하는 연못>은 비올라의 초기 작 품의 중요한 작품이라 할 수 있습니다. 남자가 숲에서 걸어 나오며 연못 앞에 섭니다. 남자는 기합을 넣으며 물을 향에 힘차게 도약하는 순간 화면은 정지하게 됩니다. 모든 것이 멈춘 것 같은 화면으로 보이지만, 인물을 제외한 나머지 주변 모습은 아주 느리게 움직이고 아래 연못의 수면에는 여전히 물결과 주변 풍경이 비치는 동영상이 대비되면서 시간의 물질성을 보여줍니다. 이 작품은 인간 경험의 이중성, 단일성 및 상호 연결성을 주제로 합니다. 그의 작품은 시간의 흐름과 삶의 순환성을 중심으로 전개되는데, 출생, 죽음, 기쁨, 슬픔 등 다양한 인간의 상호 작용을 통해 개인을 초월한 보편적인 인간의 조건에 대해 전달합니다. 또한 물의 반사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 경험 및 죽음에 직면하는 순간을 제시하여 관객이 자신의 위치와 모든 존재의 상호 연결성을 생각하도록 합니다. 이는 자기 성찰에 대한 은유적인 표현으로 비디오 아트를 통해  Viola의 심오한 감정적 깊이의 탐구를 반영합니다. 시간과 인간 존재의 관계에서 착안한 그의 작품들은 몰입감 있고 생각에 자극을 주어 공간을 떠난 후에도 오래동안 기억되게 하여 줍니다.

<교차>The Crossing(1996)

Bill Viola의 기념비적인 비디오 설치 작품인 'The Crossing'은 삶, 죽음, 변형이라는 주제에 대한 심오한 감동과 영적인 탐구를 보여줍니다. 이 작품은 1997년 광주 비엔날레에 출품한 작품으로 뛰어난 예술성과 전문 기술을 통해 시간에 대한 우리의 인식에 도전하고 존재에 대한 신비를 생각하게 합니다. 어두운 공간에 두 개의 대형 스크린이 설치되어 관객들을 한 순간에 몰입시키며 각각의 화면에는 물과 불에 관한 이미지를 강하게 전달합니다. 한 남자가 천천히 다가오는데 위에서 물이 한 방울씩 떨어지더니 급기야 폭포수처럼 쏟아지는 장면이 계속되며 소멸합니다. 다른 한쪽의 화면에서도 마찬가지로 한 남자가 다가오며 멈춰서는 순간 발밑에서 화염이 휘몰아치는 장면이 전개됩니다. 다채널 비디오와  슬로우 모션 영화 촬영법을 사용하여 물과 불의 무게감, 저항 및 유동성을 강조하면서 인물이 움직이는 모든 세부 사항을 목격하게 합니다. 또한 영상에는 물소리, 숨소리 등 미묘한 음향효과를 조성하여 깊은 사색적인 분위기를 연출하고 보는 사람이 마치 그 속에 함께 존재하는 듯한 현장감과 몰입감을 증폭시킵니다. 시간을 연장시켜 느려진 움직임은 우리의 전통적인 시간 감각을 파괴하여 명상적이고 초월된 시공간을 만들어 줍니다. 그는 우리가 감각적 경험에 몰입할 수 있게 하여 우리 자신의 존재와 일시적인 시간의 본질에 대한 깊은 사색을 하게 하며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이 보여주는 투쟁과 인내는 우리 자신의 공감, 연약함, 초월에 대한 보편적인 인간의 열망을 불러일으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