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생애와 영향

르네 마그리트는 벨기에의 초현실주의 작가로  1898년 11월 21일 벨기에 레신에서 태어나 1967 8 15일에 사망하였습니다. 작은 산업 도시에서 자란 마그리트는 섬유 상인인 아버지와 십대 시절 어머니의 자살로 그의 삶과 작업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어린 나이에 예술에 대한 집념은 1916년 브뤼셀의 Académie Royale des Beaux-Arts에 입학하게 하였고, 드로잉, 페인팅 및 조각을 공부하면서 다양한 예술적 스타일을 탐구했습니다. 그는 초기에는 입체주의와 미래주의의 영향을 받았고, 1926년부터 1930년까지 파리에 체류하면서 앙드레 브르통( André Breton), 살바도르 달리(Salvador Dali), 후앙 미로(Juan Miro), 시인인 폴 엘뤼아르(Paul Eluard) 등과 친교를 맺으며 초현실주의운동에 참여했습니다. 여기서 초현실주의는 이성의 지배를 거부하고 비합리적인 것, 의식이 아닌 무의식의 세계를 표현하는 예술 혁신 운동으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 영향을 받아 무의식의 세계, 의식과 무의식을 혼합한 현실을 초월한 미술을 의미합니다. 이탈리아의 형이상학적 화가 조르조 데 키리코(Giorgio de Chirico)는 마그리트에게 영향을 크게 준 인물로 마그리트는 그의 회화에 이끌려 그만의 독자적인 초현실주의 이미지를 창조해나갔습니다. 그에게 영향을 끼친 작품인 조르조 데 키리코의 <사랑의 노래> 서로 다른 이질적인 사물들이 하나의 공간에 나란히 놓인 모습이 매우 불가사의한 그림으로, 사물들이 비례나 크기가 맞지 않게 배치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그림과 제목이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의문을 가지게 되는 수수께끼 같은 그림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품으로서 손색이 없다는 것이 마그리트에게 큰 인상을 줬으며 이 그림을 본 후 마그리트는 생각을 자극하고 꿈 같은 이미지를 만드는 초현실주의 작가로 들어서게 됩니다.


<이미지의 배반>, 1929년, 캔버스에 유채, 60X81cm, 로스엔젤레스 카운티 미술관


이미지의 배반

르네 마그리트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이미지의 배반>(1928-1929)은 1923년 출간된 세계적인 건축가 르코르뷔지에 Le Corbusier의 책  건축을 향하여 Vers une architect’ 243페이지 ‘혁명적인 건축 챕터에 있는 브라이어 파이프 Briar Pipe’를 인용한  작품입니다. 그림은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Ceci n'est pas une pipe라는 문구와 함께 파이프를 사실적으로 묘사한 것이 특징입니다. 이는 이미지, 사물, 말과의 관계를 다시 생각하게 되는데, 그가 말하는 파이프는 파이프이지만 파이프가 아닌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가 말하려는 사실은 단지 저 물체는 '파이프'라고 부르기로 약속된 것 뿐이며, '파이프'라는 단어에는 '파이프'의 성질이 없다는 것입니다. '파이프'라는 단어 자체는 나무로 만들어지지 않았으며, 그것을 가지고 담배를 피울 수도 없습니다. 따라서 '파이프'라는 단어는 결코 '파이프'가 될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것은 연필이나 다른 사물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언어란 단지 A B라고 나타내기로 한 일종의 사회적 약속일뿐 그 본질에는 닿을 수 없으며, 이를 표현하고 말하고자 했던것이 그의 작품입니다. 즉, 사물이 가지는 특성이 단어와 이어지지 않을 수 있다는 점과 원래의 사물과 본디 단어에는 본질이 없다는 점을 말해주고 있습니다. 이렇게 마그리트의 <이미지의 배반> 작품은 철학적이며 논리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존재와 세계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였습니다. 르네 마그리트는 사람들 사이에서 당연하다고 여겨지는 개념, 사물, 상식, 논리를 뒤집는 작품을 많이 그려냈고 이미지와 대상물, 그리고 언어의 관계 체계에 대해 의문을 제기합니다. <이미지의 배반>과 비슷한 비교작품으로 <꿈의 열쇠>라는 작품이 있습니다. 틀이 하나로 통합된 액자 속에 4개의 각기 다른 그림과 그 아래로 4개의 해설 단어가 나란히 제시되어 있는데 이미지의 배반과 마찬가지로 <꿈의 열쇠>에도 재현된 이미지와 그 밑에 달린 단어가 서로 일치하지 않습니다. 1927 <이미지의 배반>이 나오기 전 정상적인 언어 관습을 부정하고 회의하는 사고로 <꿈의 열쇠>라는 제목으로 제작되었고, 그 후에도 같은 제목 다른 형식으로 여러 점 제작되었는데 이것 또한 이미지와 개념 사이의 균열을 기반으로 한 작품입니다. 이처럼 <꿈의 열쇠> <이미지의 배반>과 같이 르네 마그리트가 1920년대 후반에 몰두한 중요한 주제 중 하나인 작품이며, 언어의 불완전성에 대한 마그리트의 믿음을 되풀이해서 표현한 그의 시리즈물로 철학적인 관념을 볼 수 있는 작품입니다. 마그리트의 예술은 시각적 역설과 병치를 사용하여 관람자가 현실의 본질과 표현의 한계에 대해 질문하도록 하게 하여 현실을 전복시켰습니다. 또한 그는 가면을 쓰고 있거나 얼굴을 가린 인물을 자주 묘사했습니다. 숨겨진 정체성과 외모와 현실의 이중성이라는 주제는 인간 존재의 복잡성과 일상 생활에서 쓰는 가면에 대한 은유 역할을 합니다.

유산과 영향

마그리트는 20세기의 가장 영향력 있는 예술가 중 한 명으로서 초현실주의 운동에  많은 공헌과 예술적 유산을 남겼습니다. 그의 작품은 수수께끼 같으면서 세심한 기법으로 관객들의 생각과 시각을 자극합니다. 모든 연령대의 관객들에게 공감을 불러일으키고 전 세계적으로 인정을 받고 있습니다. 또한 그의 아이디어와 기법은 회화, 조각, 사진, 광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매체를 통해 수많은 현대 예술가들에게 영향을 미쳤습니다. David Lynch, Terry Gilliam과 같은 예술가들의 작품에 서 볼 수 있으며 초현실주의를 포용하고 창작물과 현실의 경계에 도전하는 많은 예술가들이 그의 작품을 차용하였습니다. 벨기에 브뤼셀의 마그리트 박물관에 그의 그림, 소묘, 조각 및 개인 유품이 소장되어 있으며, 런던 테이트 모던 미술관, 시카고 아트 인스티튜트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미국의 컬럭터 페기 구겐하임도 그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습니다.

반응형